사진 KT

 기지국 장비 관리 기술 개발

KT가 디지털트윈(DW) 기술이 적용된 기지국 장비 관리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혔다. 원거리에 설치된 5G 기지국의 구축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향후 서비스 망 관리 부문에 도입될 전망이다. KT는 19일 멀리 떨어져 있는 5G 기지국 구축 정보를 증강현실(AR) 기술로 측정하는 <기지국 트윈(Twin)>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는데, 기지국 트윈은 5G 기지국의 AR 화면과 스마트폰에 탑재된 관성측정장치(IMU)의 센서 값을 포즈추정(Pose Estimation) 서버로 분석하는 구조다.

 

어떤 기술일까?

현장에 설치된 기지국의 경사각과 방향각 및 설치된 높이 값을 도출해 내는 기술로 해당 기술 개발을 위해 중소기업 <버넥트(VIRNECT)>와 협업했다고 한다. 이를 활용하면 엔지니어가 건물 옥상과 같은 기지국이 설치돼 있는 지점까지 올라가지 않고도 기지국의 각도를 알 수 있게 된다고 하니 엔지니어의 위험한 업무 하나가 해결된 셈이다.

 

기지국 트윈을 왜 개발했을까?

통신사가 무선 서비스를 끊김 없이 전달하기 위해서는 주변 환경을 고려한 기지국의 각도, 높이 등의 구축정보가 정교하게 관리돼야 한다. 외부적인 요인으로 기지국의 위치나 방향이 변하면 서비스 반경이 옆 기지국과 겹치거나 좁아져 음영지역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위해 그간 엔지니어가 장비에 직접 접근해 기지국 구축 정보를 측정해 왔다.(인력의 직접적인 투입이 없어지지 않는한 아직은 기계가 우리를 지배할 일은 없을테니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기지국 트윈의 특징

기지국 트윈은 실시간으로 추출한 5G 기지국 구축 정보를 데이터 저장 서버에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기능도 지원해 측정부터 기록까지 모든 작업을 현장에서 처리할 수 있는 점도 특징이다. KT가 진행한 현장에서의 기술 검증 결과, 엔지니어가 약 30m 이상 떨어진 기지국의 구축 정보 값을 측정했을 때 경사각은 평균 1도, 방향각은 평균 7도 내외의 편차만이 발생했다. 또 엔지니어가 건물 옥상 위로 올라가 나침반과 각도 게이지로 5G 기지국의 구축 정보를 측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0여분인데 기지국 트윈을 이용하면 평균 3분만에 모든 값을 측정하고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추가

KT 융합기술원 인프라연구소장 이종식 상무는 <향후 디지털 트윈 구축을 통한 원격 기지국 관리 기술과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최신 기술을 5G 네트워크 운용 업무에 적극 적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제는 5G의 시대로 하였지만, 아직은 통신망 구축이 미흡하여 사실 피부로 와닿지 않았었다. 그러나 이렇게 점진적으로 통신망이 확대된다면 AI, AR 의 시대가 열릴 것 같다.(그렇게 되면 나도 짤릴려나?)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